-
[구글 바드 Bard] AI 분야도 다시 구글드 할지 궁금IT 2023. 5. 19. 07:30728x90반응형
최근데 일반 검색이 아닌 AI 기반으로 한 채팅 서비스가 많이 생기고 있습니다.
제가 아는 것은 OpenAI(회사이름이었더군요), 뤼튼(wrtn)
Bing 등이 있는데요
검색의 최강자 구글이 '바드'라는 서비스를 가지고 나와서 궁금해서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네이버나 구글에서 '바드'를 검색해서 들어갑니다.
바드에 처음 접속을 하면
바드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가 나옵니다.
올해 책 20권을 읽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가격, 치안, 분위기를 고려해서 런던에서 지낼 수 있는 좋은 숙소를 추천해준다. 등등
그동안 키워드를 넣어 검색하던 것에 익숙했던 우리들에게
AI 채팅 검색 시스템은 '문맥'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답을 줍니다.
개인정보처리방침에 대한 안내문입니다.
처음 CHat GPT가 나왔을때 이탈리아에서는 사용을 중지(접속 차단)했다고 하더군요. (뉴스에서 봄)
그런데 지금은 풀린거 같은데 접속 차단의 이유는
'개인정보'가 Chat GPT에 그대로 노출이 되기 때문이죠.
- Bard는 최적의 답변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이전 대화 및 대략적인 현재 위치를 사용합니다.
- Bard는 실험 단계의 기술이며 때때로 Google의 입장을 대변하지 않는 부정확하거나 부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습니다.
- Bard의 대답을 의료, 법률, 금융 또는 기타 전문가의 조언으로서 신뢰해서는 안 됩니다.
- Bard 대화에 기밀 정보나 민감한 정보를 포함하면 안 됩니다.
종요한 내용은 위와 같습니다.
기밀 정보나 민감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게 조심해주세요
아직은 실험버전이라고 하네요
그래서 부정확하거나 부적절한 대답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OpenAI 경우도 부정확한 답변을 내놓는 경우가 많은데요
여러 이유 중에 Chat GPT가 학습한 연도와 관련해서 오류를 지적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인터페이스는 Open AI와 유사합니다.
한글로 바로 입력할 수 있는데
Open AI도 영어 인터페이스이긴 하지만 한국어도 가능합니다.
제가 입력한 내용은
지금 영화 시나리오를 쓰고 있습니다. 총 분량은 10분 내외고 10개의 scene으로 구성이 되면 좋겠습니다. 등장인물은 60대 중반의 남자와 여자, 두 사람은 부부입니다. 남자 주인공은 회사에서는 간부였지만 권고사직을 당하면서 세상을 싫어하고 사회에 적응을 잘 못하고 있죠. 여자 주인공은 그런 남편이 딱하기도 하지만 말을 섞으면 싸우니까 힘들어 합니다. 남자는 평생학습관이나 봉사활동을 통해서 점점 세상을 알아가는데 그 역할을 해주는 것은 직장 상사였던 동료입니다. 결국 남자는 세상에 잘 적응하고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죠.
답은
FADE IN:
INT. 거실 - DAY
60대 중반의 남자와 여자가 소파에 앉아 TV를 보고 있습니다. 남자는 신문도 읽고 있습니다. 여자는 남자의 옆에 앉아서 양말을 뜨고 있습니다.
남자: (신문을 읽으면서) 이거 봤어? 회사에서 20년 일한 사람이 권고사직을 당했대.
여자: (양말을 뜨면서) 그래? 안됐겠다.
남자: 나도 곧 그럴 것 같아. 회사 사정이 안 좋아서 다들 걱정하고 있어.
여자: 걱정마. 뭐든 잘 될 거야.
남자: 모르겠어. 요즘은 세상이 너무 빨리 변하고 있는 것 같아. 내가 따라가기 힘들어.
여자: 그럴 수 있어. 하지만 괜찮아. 천천히 익숙해지면 돼.
남자: 모르겠어. 요즘은 세상을 싫어하는 것 같아.
여자: 그러지마. 세상은 아름다운 곳이야.
남자: 모르겠어. 요즘은 세상에 낙관이 없어.
여자: 그래도 낙관을 가져야 해. 낙관이 없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어.
남자: 모르겠어. 요즘은 그냥 포기하고 싶어.
여자: 포기하지마. 나도 네가 곁에 있어야 해.
남자: 미안해.
여자: 괜찮아.
남자는 여자를 바라보며 미소를 지었다.
FADE OUT.
INT. 평생학습관 - DAY
남자는 평생학습관에 앉아 수업을 듣고 있다. 수업을 하는 사람은 그의 직장 상사였던 동료다.
동료: (수업을 하면서) 오늘은 자기계발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자기계발은 자신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더 나은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 것입니다. 자기계발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책을 읽거나, 강의를 듣거나, 봉사활동을 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
남자는 동료의 말에 집중하고 있다. 그는 동료의 말을 들으면서 자기계발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했다.
FADE OUT.
EXT. 봉사활동 장소 - DAY
남자는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그는 아이들과 함께 공원을 청소하고 있다. 아이들은 남자와 함께 공원을 청소하는 것을 즐기고 있다.
아이 1: (남자에게) 우리랑 놀아줘요!
남자: (아이들에게) 좋아요.
남자는 아이들과 함께 공원에서 놀고 있다. 그는 아이들과 함께 노는 것을 즐기고 있다.
FADE OUT.
INT. 남자의 집 - DAY
남자는 소파에 앉아 TV를 보고 있다. 여자는 남자 옆에 앉아서 책을 읽고 있다.
남자: (TV를 보면서) 오늘 봉사활동을 갔다.
여자: 그래? 재미있었어?
남자: 재미있었어. 아이들이랑 같이 놀았어.
여자: 잘했어.
남자는 여자를 바라보며 미소를 지었다.
FADE OUT.
INT. 남자의 집 - DAY
남자는 책상에 앉아 글을 쓰고 있다. 여자는 남자 옆에 앉아서 남자를 바라보고 있다.
남자: (글을 쓰면서) 자기계발에 관한 책을 쓰고 있어.
여자: 그래? 잘하고 있을 거야.
남자: 모르겠어. 아직 많이 남았어.
여자: 천천히 해도 돼.
남자는 여자를 바라보며 미소를 지었다.
FADE OUT.
INT. 서점 - DAY
남자는 서점에 서서 자기계발에 관한 책을 보고 있다. 그는 책을 보고 미소를 지었다.
남자: 드디어 끝났어.
남자는 책을 사서 집으로 돌아갔다.
FADE OUT.
INT. 남자의 집 - DAY
남자는 소파에 앉아 자기계발에 관한 책을 읽고 있다. 여자는 남자 옆에 앉아서 남자를 바라보고 있다.
남자
위와 같이 나왔습니다.
제가 생각했던 시나리오는 10개의 Scene으로 구성했으면 했는데
바드는 4개의 Scene으로면 스토리를 풀었네요
반면 Open AI는
- 장면: 부부의 집 - 거실 - 아침
60대 중반의 남자 (이하 A)와 여자 (이하 B)가 아침 식사를 하며 어색한 대화를 나눕니다. A는 사회적인 활동을 꺼려하고, B는 그의 소극적인 태도에 힘들어 합니다.
- 장면: 회사 - 사무실 - 과장실
A는 간부로 일하고 있지만 권고사직을 받게 됩니다. 충격에 휩싸인 A는 세상을 싫어하고 자신을 낮추며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있는 모습을 보입니다.
- 장면: 도서관
A는 평생학습관에 등록하여 세상을 알아가기 시작합니다. 독서와 공부를 통해 자신의 시야를 넓히고, 지식을 쌓아갑니다.
- 장면: 봉사활동 현장
A는 봉사활동을 시작합니다. 사회적인 문제에 관심을 갖고 실제 행동으로 나서며,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는 경험을 합니다.
- 장면: 도서관 - 독서 모임
A는 도서관에서 독서 모임에 참여합니다. 그곳에서 이전 직장 동료인 C와 우연히 만나게 됩니다.
- 장면: 독서 모임 - 대화
C는 A의 과장 시절 동료로서, A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준 사람입니다. C는 A를 격려하며, 세상에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방법을 가르쳐줍니다.
- 장면: 도서관 - A의 개인 공부
A는 C의 조언을 받아 세상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되고, 더욱 열심히 공부하며 자기계발에 매진합니다.
- 장면: 사회 - A의 봉사활동
A는 C와 함께 사회적인 문제에 대한 봉사활동을 더욱 활발히 참여합니다. 그의 긍정적인 영향력은 주변 사람들에게 전해지며, 사회적 변화를 일으킵니다.
- 장면: 부부의 집 - 거실 - 저녁
A와 B는 오랜만에 대화를 나
여기까지 밖에 글을 적어주지 않았습니다.
바드와 오픈 AI를 다 써본 결과
- 바드는 사용이 편하고 쉽다.
- 오픈 AI가 조금 더 내가 원하는 답을 준다.
- 사용편의(오픈 AI는 3시간당 25회로 제한, 수시로 바뀜))면에서는 바드가 낫다(제한 사항이 없습니다)
입니다.
어떤 AI 채팅 검색 서비스가 좋을지 모르겠는데
결국 시장은 2,3개 회사가 독식하는 구조로 갈거 같습니다.
현재 Chat GPT가 가장 좋다는 느낌을 받고
국내 스타트업에서 개발한 뤼튼이 이미지 검색도 한번에 되어서 좋습니다.
반면 바드는 개발이 조금 늦었는지 만족스러운 답을 내놓고 있지는 못합니다.
하지만 구글의 빅데이터가 다른 선구 주자를 곧 따라잡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있습니다.
작성된 글은 2023년 5월 15일입니다.
이후에 서비스들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참고해주세요
728x90반응형'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챗 GPT] Chat GPT 가입하고 시작하기 (13) 2023.06.02 [메타버스] 메타버스가 오고 있다. 이미 경험하고 있는 메타버스 (3) 2023.05.26 [AirDrop 에어드롭] 아이폰끼리 빠르게 사진, 문서 공유하기 (0) 2023.05.12 [아이폰 날씨앱] 여행지의 미세먼지, 날씨가 궁금해 (0) 2023.05.05 [스마트폰 카메라 성능] 갤럭시 vs 아이폰 vs 타 브랜드 (2) 2023.04.28